🧠 1. 중앙처리장치 (CPU: Central Processing Unit)
-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며, 모든 연산과 제어를 수행함.
- 주요 구성요소:
- 제어장치(CU):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제어.
- 연산장치(ALU):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.
- 레지스터(Register): 고속의 임시 기억장치로, 데이터와 명령어 저장.
- 속도 단위: 클럭(clock), GHz 단위로 표현.
💾 2. 주기억장치 (Main Memory)
- CPU가 직접 접근 가능한 메모리.
- 대표적으로 RAM (휘발성) 과 ROM (비휘발성) 이 있음.
- RAM (Random Access Memory):
-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짐.
- CPU의 작업공간으로 사용됨.
- ROM (Read Only Memory):
- 전원이 꺼져도 내용 유지.
- BIOS 등 시스템 기본 정보 저장.
🔄 3. 가상 메모리 (Virtual Memory)
- 실제 RAM 용량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술.
-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방식.
- 장점:
- 다중 프로그램 실행 가능.
- 메모리 부족 문제를 완화.
- 단점:
- 속도가 느림 (디스크 접근 속도 < RAM 속도).
💽 4. 보조기억장치 (Secondary Storage)
-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.
- 예시:
- HDD(하드디스크 드라이브), SSD(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), USB, DVD, 외장하드 등.
- 특징:
- 비휘발성.
- 대용량, 저렴.
- 접근 속도는 주기억장치보다 느림.
필기 문제에서는 주로 이런 식으로 출제됩니다:
✅ 예제 문제
Q. 다음 중 주기억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RAM
② ROM
③ 레지스터
④ 하드디스크
👉 정답: ④ 하드디스크 (보조기억장치)
✅ 자주 출제되는 키워드별 기출 유형
🔸 1. 중앙처리장치(CPU) 관련 기출
문제 1. CPU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?
① 제어장치(CU)
② 연산장치(ALU)
③ 레지스터
④ 캐시 메모리
👉 정답: ④ 캐시 메모리 (캐시는 메모리임, CPU 내부 구성요소 아님)
문제 2. 제어장치의 역할로 옳은 것은?
① 산술연산 수행
② 논리연산 수행
③ 명령어 해석 및 실행 제어
④ 데이터 일시 저장
👉 정답: ③
🔸 2. 주기억장치 관련 기출
문제 3. 다음 중 휘발성 메모리는?
① RAM
② ROM
③ 하드디스크
④ SSD
👉 정답: ①
문제 4. 주기억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RAM
② 캐시
③ 레지스터
④ DVD
👉 정답: ④ (보조기억장치임)
🔸 3. 가상메모리 관련 기출
문제 5. 가상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RAM의 용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다.
②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향상시킨다.
③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이다.
④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진다.
👉 정답: ③
문제 6. 가상 메모리를 사용할 때 단점은?
① RAM 속도보다 빨라진다.
② 디스크 공간이 낭비된다.
③ 시스템이 다운된다.
④ 연산처리 능력이 증가한다.
👉 정답: ②
🔸 4. 보조기억장치 관련 기출
문제 7.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SSD
② RAM
③ HDD
④ USB 메모리
👉 정답: ②
문제 8. 보조기억장치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 휘발성이다
② CPU가 직접 접근한다
③ 대용량 저장 가능
④ 연산기능이 있다
👉 정답: ③
이런 유형의 문제들은 기출 반복이 많기 때문에 키워드를 중심으로 암기하면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.
컴활 1급 필기에서는 때때로 긴 지문형 문제도 출제되며, 특히 이론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집니다. 아래는 앞서 말씀하신 주제(중앙처리장치, 주기억장치, 가상메모리, 보조기억장치)와 관련된 지문이 긴 예제 기출문제입니다.
📝 예제문제 1: (가상메모리 + 주기억장치 혼합형)
Q. 다음은 컴퓨터 메모리 구성과 관련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① 가상메모리는 실제 기억장치보다 작은 용량의 RAM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며,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.
②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,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며,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.
③ 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, 주로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임시 작업 공간으로 활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할 수 있다.
④ 가상메모리는 프로그램 실행 시 주기억장치가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하며, 사용자는 이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.
👉 정답: ③
해설: ROM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맞지만, 운영체제의 임시 작업 공간이 아니라 시스템의 기본 명령(예: BIOS) 을 저장하며,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.
📝 예제문제 2: (보조기억장치 + 속도 비교)
Q. 다음은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① CPU는 주기억장치보다 캐시 메모리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, 캐시는 연산 속도 향상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.
②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, 주로 하드디스크, SSD, 광디스크 등이 이에 해당한다.
③ 주기억장 CPU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이며, 접근 속도는 보조기억장치보다 느리다.
④ 보조기억장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, 시스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된다.
👉 정답: ③
해설: 주기억장치는 CPU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이며, 접근 속도는 보조기억장치보다 빠르다. 따라서 설명이 잘못되었음.
📝 예제문제 3: (CPU 구성 요소 + 역할 비교)
Q. 다음은 중앙처리장치(CPU)의 과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① 연산장치는 산술 연산(덧셈, 뺄셈 등)과 논리 연산(AND, OR 등)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.
② 제어장치는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고, 데이터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.
③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거나,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고속의 기억장치이다.
④ 주기억장치는 CPU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, 연산과 제어 기능을 직접 담당하며 명령어를 처리한다.
👉 정답 ④
해설: 주기억장치는 CPU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메인보드에 있는 독립된 메모리 장치이며, 연산 및 제어 기능을 하지 않음.
이런 문제들은 이론이해도 + 단어정의 정확성 + 비교 능력을 동시에 요구합니다.
'컴퓨터활용능력시험(컴활)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활1급 필기 데이터베이스 구조 (11) | 2025.05.08 |
---|---|
컴활1급 필기 , 컴퓨터 일반, Windows 운영체제(주로 Windows 10, 최근에는 Windows 11) (4) | 2025.05.07 |
컴활1급 필기, BIOS(Basic Input/Output System) 기능 (4) | 2025.05.02 |
컴활1급 필기, CMOS (Complementary Metal-Oxide Semiconductor) 기능 설명, 설정 가능한 항목 (3) | 2025.05.02 |
컴활1급 필기, 프록시 서버(Proxy Server)의 주요 기능 (5) | 2025.05.02 |